소파를 구매할때 확인해야 할 내장재 구성 (ft. 고급 제품 소재)

 보통 가정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소파를 구매할 때 외장재의 품질을 최우선으로 보고 결정합니다. 물론, 외장재의 품질이 전체 제품 가격의 6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이 방식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자신이 관심을 갖고 보는 제품이 좋은 것인지, 평범한 것인지 알고 싶다면 내장재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소파 내장재를 확인해야되는 이유



소파의 경우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한 부속품들과 눈에 보이는 외장재(가죽, 패브릭 등)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제품의 내구성은 외장재뿐 아니라 내장재의 품질도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고밀도 폼이나 스폰지의 경우 방석의 꺼짐 현상이 발생하는 시기를 늦추는 가장 주요한 핵심 소재이며, 그 밑에 받쳐주는 밴드와 S자 스프링의 품질이 그 성능을 더 좋아지도록 도움을 주게 됩니다.


그런 이유로 소비자는 소파 내장재의 종류와 수준을 알아둘 필요가 있으나 이를 알고 구매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외장재의 품질이 곧 내장재의 품질과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즉, 비싼 가죽이나 패브릭 소재를 사용하고 속에 저렴한 소재를 사용해서 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경우는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도 고가 제품에 들어가는 내장재의 종류와 수준을 알아두면 가구 구매시 도움이 됩니다. 특히, 외장재의 품질이 명확하지 않은 제품을 볼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지요. 그래서 고가 제품에 들어가는 내장재를 몇 가지 소개해봅니다.





고급 소파에 사용되는 내장재 종류


  • 원목, 정제목, 건조 각재목, E0 합판 등


소파의 프레임 (틀)을 구성하는 자재는 최소한 원목 베이스입니다. 보통 원목이라는 표현보다 정제목, 규격목, 각재목 등으로 표현합니다.


  • 고밀도 폼 (스펀지)


보통 많이 사용되는 고급 폼에는 HR 골드 스펀지가 있습니다. 이 외에 밀도가 35kg ~ 40kg 인 폼이 체중을 잘 받쳐주어 쉽게 방석이 꺼지는 것을 막아줍니다.  HR 골드 스펀지, 고밀도 탄성폼, 고밀도 스폰지 등 다양한 소재가 있는데 제일 중요한 것은 밀도입니다. 35kg 이상이라면 고급입니다.


* 내장재의 경우 일정 수준 이상에서는 35kg 이상을 사용하므로 이하의 밀도는 선택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쉽게 말해 중급이든 고급이든 35kg 이상인데 굳이 하급을 구매할 이유는 없다는 것입니다.


  • 이태리 밴드, S자 스프링


밴드와 스프링은 고밀도 폼 밑에 배치되는 내장재로 폼이 꺼지는 것을 방지해서 방석의 수명을 늘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밴드는 인장력이 뛰어난 INTES社 제품이 많이 쓰이며, S자 스프링은 열 처리된 강선으로 만든 제품이 주로 사용됩니다.


  • 마이크로화이버, 향균화이버


고밀도 폼과 외장재 사이의 쿠션감과 볼륨감을 구성하는 소재로 저가, 고가 공통으로 사용되는 소재입니다.


  • 접착제


내부 소재들을 결속할때 사용되는 접착제는 모두 친환경 제품을 사용합니다. 이 부분은 사용량도 소량이라서 판매 업체에서 자신이 없으면 아예 언급을 하지 않으므로 친환경 접착제를 사용한 제품이 좀 더 수준이 높다는 것만 알아두시면 됩니다.


소파의 내부 소재들을 확인할때는 고밀도 스펀지, 밴드, S자 스프링을 중점적으로 확인하면 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잘못 알려진 일부 소재에 대한 이야기


  • 오리털, 거위털


새의 깃털은 주로 등방석, 좌방석의 최상단에 위치해서 제품의 쿠션감과 볼륨감을 형성합니다. 하지만 새의 깃털은 그 특성상 뭉치지 않게 펼쳐서 따뜻한 공기를 머금고 있을 공간을 만들어줘야 됩니다. 그래서 깃털이 사용된 부분을 분리할 수 없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 라텍스, 메모리폼


고밀도 스펀지 폼을 보조하는 역할로 사용되는 기능성 소재입니다. 이 소재의 장점은 위생적이고, 복원력이 좋다는 것인데요. 일단 좌방석 최상단이 아니면 효과가 전혀 없고 그 부분만 분리되어 관리를 할 수 없다면 그냥 외장재에 쌓인 저가 스폰지에 불과합니다. 그러므로 이런 소재를 사용한 경우 분리 여부, 관리 가능 여부를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