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i 애프터버너를 이용해서 언더볼팅 하는 방법 (ft. rtx 4070ti 예시)

지난 주, 고민 끝에 msi rtx 4070ti 게이밍x 트리오를 구매했습니다. 컴퓨터 부품 중에서는 생애 첫 고가 제품이라서 처음으로 언더볼팅을 해봤습니다. 이에 기본적인 언더볼팅을 통해 소비전력과 gpu 온도를 낮추고 싶은 분들께 참고가 되도록 msi 애프터버너를 이용한 언더볼팅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의 예시는 msi 4070ti 이며, 제 경우 직접 전압과 부스트클럭을 찾아서 진행한 경우가 아니고 유튜브의 영상을 보고 안정적인 전압과 클럭을 참고하여 진행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약간의 조정만 할 생각이라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tx 4070ti 언더볼팅 하는 방법


사용 프로그램 - msi 애프터버너


언더볼팅프로그램 msi 애프터버너 메인이미지

오버클럭, 언더볼팅을 하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 msi 애프터버너입니다.


애프터버너 스킨 변경 방법 소개1

만약 스킨이 다르다면 애프터버너 화면 왼쪽에 톱니바퀴를 눌러서 설정으로 들어간 뒤 ui 탭에서 스킨을 다시 설정하면 됩니다.


msi rtx 4070ti 언더볼팅 과정


커브 에디션 곡선 조정 시작 방법1

최초 화면에서 커브드 에디션(curve editor)를 클릭해서 전압과 클럭 그래프를 띄운 뒤 위 이미지처럼 core clock을 왼쪽으로 끝까지 밀어줍니다.


커브드 에디션 전압 조정 초기화면1

그러면 위 그림처럼 전압과 클럭의 그래프가 밑으로 내려오게 됩니다.


적정 전압과 적정 부스클럭 설정하는 방법

그 상태에서 원하는 전압에 해당하는 부분을 마우스로 잡고 위로 쭉 끌어올려서 원하는 클럭에 맞춰줍니다. 그리고 엔터를 쳐서 고정을 합니다. (클럭 미세 조정은 키보드 화살표 위, 아래로 할 수 있습니다.)


제 경우 rtx 4070ti를 구매하고 처음 하는 작업이라서 퀘이사존 유튜브 채널에 4070ti 언더볼팅 영상을 보고 전압과 부스트클럭을 잡았습니다. 70ti는 일단 전압 900 (0.9), 부스트클럭 2580에서 시작해서 그렇게 맞춥니다.


* 전압 900, 클럭 2580은 수 회의 테스트를 거쳐서 자신의 그래픽카드와 시스템에 맞는 수치를 찾기 시작하는 지점이라고 보면 됩니다. 이 수치는 70ti만 해당합니다. 참고로, 아무런 정보 없이 개인이 스스로 적정 전압과 클럭을 찾을 수 있는 분들은 애초에 이 글을 안 볼테니 저는 제가 직접 진행한 방식만 적습니다.



전압과 클럭을 고정한 뒤 msi 애프터버너 화면에서 위 이미지에 체크 표시를 누릅니다.


언더볼팅 설정 완료 화면 곡선 표 이미지1

체크 표시를 눌러주면 커브 곡선은 위 그림처럼 바뀝니다. 그럼 전압과 클럭은 언더볼팅 설정이 끝난 것입니다.


메모리 오버 수치 입력 화면 이미지1

그 다음에는 메모리 클럭에 수치를 입력해서 오버를 해주고 체크 버튼을 눌러서 설정을 완료합니다.


제 경우 rtx 4070ti에 메모리 오버는 900이 끝입니다. 1000만 넘어가도 게임이 중간에 끊기고 언더볼팅 설정이 풀립니다. 1100 이 넘어가면 타임 스파이 벤치 프로그램도 돌아가지 않습니다. 1200이 넘어가니 모니터 화면에 바둑판 형태의 블럭이 생기며 재부팅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제 경우 메모리 오버 값은 900만 줍니다.


처음에 메모리는 건드리지 말고 전압과 클럭만 조정해서 벤치 프로그램(타스, 포트로얄 등)을 돌려보고 문제가 없으면 메모리 오버를 하는게 좋습니다. 전압과 클럭이 문제가 없는 상태에서 메모리 수치를 조정해서 자신에게 맞는 값을 찾아야 되니까요. 제 경우 100 단위로 바꿔가면서 진행했는데 900에서 문제가 없어서 900만 넣고 있습니다.


* 이 값 또한 그래픽카드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어떤 분들은 메모리 오버가 잘 들어간다며 2000까지 넣는 분들도 계십니다. 제 rtx 4070ti가 900 밖에 안 들어가는 겁니다.


설정 유지를 위한 윈도우 버튼 클릭 예시

전압, 클럭, 메모리까지 설정하고 벤치마크까지 돌려서 정상 구동이 확인되면 오른쪽 상단에 윈도우 표시를 눌러서 윈도우 구동 시에도 설정이 유지되도록 바꿔주고 최소화로 내려주면 됩니다. (제 경우에는 1번에는 언더볼팅 값, 2번에는 순정 값을 저장해서 심심 할 때 마다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msi rtx 4070ti trio 언더볼팅 효과


이제 제가 직접 진행했던 전압 900, 부스트클럭 2580, 메모리 900 설정으로 언더볼팅을 한 뒤에 벤치마크 프로그램인 time spy 를 돌린 결과를 남깁니다.


필자의 rtx 4070ti 언더볼팅 결과 예시표1

퀘이사존 영상을 통해서 확인한 수치로 언더볼팅을 진행하니 위와 같이 결과가 나왔습니다. 타스 점수 1700점을 날리고 매우 착한 온도와 소비 전력을 얻었습니다.


참고로 현재 제가 쓰는 설정은 전압 900, 부스트클럭 2715, 메모리 900 입니다. 타임스파이 점수는 21,700, 온도는 위 표에서 2도 정도 올라가고, 소비전력은 5w 정도 높아지더군요. 일단 이 수치에 만족해서 그냥 저는 2715 클럭으로 언더볼팅 후 사용 중이네요.


차후 좀 더 테스트를 진행해서 소비전력 200w 정도에 온도 핫스팟 60도 중후반, 타임 스파이 점수 22000점에 맞춰서 언더볼팅 수치를 조정할 예정입니다. 다만, 지금 당장은 rtx 4070ti를 풀로드로 쓸 일이 없어서 당분간은 2715 클럭으로 사용할 예정이네요.


2023. 02. 09 추가


현재 필자는 수 차례에 걸친 수치 변경을 통해 전압 960, 부스트클럭 2640, 메모리 오버 850 상태에서 사용하는 중입니다. 이 언더볼팅 기준으로 타임 스파이 점수는 21700 점, 소비전력은 197w 입니다. 풀로드 기준 온도는 핫스팟 최고 온도 68도입니다.


* 참고로 rtx 4070ti의 경우 메모리 오버 2000 까지 들어간다고 알려져 있으나 제품 별로 수율이 다 달라서 실제 값은 스스로 찾아야 됩니다. 제 경우 1000을 기준으로 100씩 올리고 내리면서 안정화를 시킨 결과 850에서 유지하는 중이네요.


언더볼팅을 할 때는 일단 메모리 오버 수치부터 찾고 그 뒤에 전압과 클럭을 설정하는 것이 더 편합니다. 1500 넣어보고 바둑판 모양의 깨짐 현상이나 애프터버너 설정 풀림, 재부팅, 화면 꺼짐 등의 현상이 없으면 1600 으로, 그런 현상이 있으면 1400 으로 계속 테스트를 해보면 됩니다. 제 경우 900으로 설정했을 때 1~2일 뒤에 컴퓨터가 재부팅되서 800으로 했고, 잘 되서 850으로 올리고 지금 3 일이 지나서 그대로 유지하려 합니다.


언더볼팅을 꼭 해야되는가?


소음과 발열이 높은 rtx 3000 번대 하이엔드 제품들은 이런 설정이 필요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4070ti의 경우 순정 상태에서 풀로드 시점 소비 전력이 280w 정도입니다. 핫 스팟 온도도 70도 후반에서 80도 초반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풀로드로 사용하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평소 사용하는 게임이나 프로그램이 gpu 로드율을 8~90%까지 뽑아낸다면 핫스팟 온도를 낮출 목적으로 언더볼팅을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그런 상황이 없다면 일단 순정 상태를 유지해도 상관이 없다고 생각됩니다.


참고로, 현재 제가 32인치 qhd로 검은사막을 풀옵션으로 플레이하고 있는데 팬 속도 1000rpm에 로드율 50% 이하, 온도 50도 이하입니다. 모니터의 주사율이 144hz로 바꿀때까지는 그냥 순정 상태로 써도 문제가 없는거죠.


테스트 삼아서 재미로 해보면 좋지만 자신의 상황에 굳이 필요가 없다면 순정 상태로 쓰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됩니다.

Powered by Blogger.